네덜란드령 동인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17세기 초부터 1949년까지 존재했던 네덜란드의 식민지로, 현재의 인도네시아 영토를 포함한다. 과거 동남아시아의 상업 중심지였던 인도네시아 군도는 16세기 말 네덜란드인들이 진출하면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지배를 받았다. VOC는 무역 독점과 영토 확장을 통해 세력을 키웠으나, 1799년 해산되었다. 이후 영국 통치를 거쳐, 1830년부터 1870년까지 강제 재배 제도가 시행되어 경제적 착취가 이루어졌다. 1901년부터 윤리 정책이 시행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점령을 겪었다. 일본의 패망 후, 인도네시아 독립 투쟁이 벌어졌고, 1949년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종말을 맞이했다. 식민지 시대는 행정, 법률, 군사,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네덜란드 요리와 건축에 큰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인도네시아 관계 - 네덜란드령 뉴기니
네덜란드령 뉴기니는 1898년 네덜란드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형성된 식민지로, 인도네시아 독립 후 귀속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UN을 거쳐 인도네시아로 이관되었으며, 파푸아인의 자결권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쟁되고 있다. - 1800년 설립 - 제국친위대 엽기병연대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 제국의 정예 기병 부대인 제국친위대 엽기병연대는 1799년 창설되어 나폴레옹 전쟁의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이후 제국친위대로 확대 개편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다 러시아 원정 후 제2 황실 근위 샤쇠르 연대로 개편되었다. - 1800년 설립 - 미들베리 칼리지
미들베리 칼리지는 1800년에 설립 인가를 받은 버몬트주 소재의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흑인 졸업생 및 혼성 교육에서 선구자적 역할을 했으며, 외국어 및 환경학 교육에 강점을 가진다.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물타툴리
물타툴리는 네덜란드 작가 에두아르트 더웨스 데커의 필명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에서의 공무원 경험을 바탕으로 식민지 행정의 부패와 착취를 비판하는 《맥스 하벨라르》를 발표하고 식민주의 폐해를 폭로한 사회 비판적인 작가이다.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아체 전쟁
아체 전쟁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네덜란드가 아체 술탄국의 천연자원 확보를 위해 벌인 무력 충돌로, 아체인들의 끈질긴 저항으로 네덜란드의 지배권 확립에도 불구하고 저항이 지속된 전쟁이다.
네덜란드령 동인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호 (네덜란드어) | Nederlands-Indië |
국호 (인도네시아어) | Hindia-Belanda |
일반 명칭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지위 | 네덜란드의 식민지 |
국가 표어 (프랑스어) | Je maintiendrai |
국가 표어 (한국어 번역) | 나는 굳건히 지키리라 |
국기 | 네덜란드 국기 |
수도 | 바타비아 (현재의 자카르타) |
공용어 | 네덜란드어 (공식어), 말레이어 (링구아 프랑카), 토착어 |
종교 | 이슬람, 기독교, 힌두교, 불교, 유교, 애니미즘/전통 종교 |
통화 | 길더 |
면적 | 1,919,440 km² |
최대 도시 | Soerabaja |
현재 국가 | 인도네시아 |
현재 국가 (추가) | 말레이시아 |
![]() | |
지도 범례 | 1600년대 1700년대 1800년대 1900–1942년 |
정치 | |
정치 체제 | 혼합 시스템 (직접 통치 및 간접 통치) |
정부 형태 설명 | 중앙 집권화된 총독령 (네덜란드 군주 통치 하) 및 토착 국가 영토 내 이원 통치 |
군주 | 군주 |
역대 지도자 | |
초대 그랜드 펜셔너리 | 아우구스티인 헤라르트 베시어 (1800년) |
마지막 그랜드 펜셔너리 | 카렐 드 보스 판 스텐베이크 (1806년) |
초대 군주 | 빌럼 1세 (1816–1840년) |
마지막 군주 | 율리아나 여왕 (1948–1949년) |
초대 총독 | 피터르 헤라르뒤스 판 오버스트라턴 (1800–1801년) |
마지막 대표 | 토니 로빙크 (1949년) |
입법부 | 폴크스라트 (1918–1942년) |
역사 | |
이전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1603–1799년) |
시작 | 직접적인 네덜란드 통제 (1799년 12월 31일) |
사건 1 | 프랑스 및 영국 간섭 (1806–1816년) |
사건 2 | 영국-네덜란드 조약 (1814년 8월 13일) |
사건 3 | 런던 조약 (1824년 3월 17일) |
사건 4 | 아체 전쟁 (1873–1904년) |
사건 5 | 두 번째 발리 네덜란드 개입 (1908년 4월) |
사건 6 | 일본 점령 (1942–1945년) |
사건 7 |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1945년 8월 17일) |
사건 8 | 인도네시아 국민혁명 (1945–1949년) |
종료 |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의 (1949년 12월 27일) |
인구 통계 | |
인구 (1930년) | 60,727,233명 |
2. 역사적 배경
"인디스"라는 단어는 인두스la에서 유래했다. 원래 이름인 "더치 인디스"()는 영국인들에 의해 "더치 동인도"(Dutch East Indies)로 번역되었으며, 이는 네덜란드령 서인도와 구별하기 위함이었다.[14] "더치 인디스"라는 이름은 1620년대 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14]
영어로 글을 쓰는 학자들은 "인디에"(Indië), "인디스"(Indies), "더치 동인도"(Dutch East Indies), "네덜란드령 인디스"(Netherlands Indies), "식민지 인도네시아"(colonial Indonesia)라는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15]
2. 1. 교역 시대의 동인도 (16세기 말 ~ 17세기 초)
16세기 말, 네덜란드인들은 이 해역에 도달하기 시작했다. 포르투갈의 식민지 등에서 일했던 네덜란드인 린스호텐의 정보에 의해 1596년, 네덜란드의 코르넬리스 데 하우트만(Cornelis de Houtman영어)의 선단이 순다 해협에 면한 자바섬 북서 해안의 반텐 항에 도달했다.하우트만은 후추 무역으로 번영하고 있던 반텐 왕국과의 사이에 무역 관계를 구축하려 했지만, 결국 그 시도는 실패하고 폭력적 약탈과 주민 살해로 인해 약간의 향신료만을 본국으로 가져가는 데 그쳤다.[1]
그러나 네덜란드인에게 있어서 마다가스카르에서 인도양을 넘어 자바에 이르는 신 항로를 개설한 것의 의의는 컸으며, 그의 귀환으로 인해 네덜란드에서는 동방 항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1]
2. 2.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VOC) 통치 (17세기 초 ~ 18세기 말)
1598년, 네덜란드는 반텐 왕국으로부터 반텐에 상관 설치를 허가받았다. 1602년에는 동방 무역을 일원화하기 위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이하 '''VOC'''로 약칭)"를 설립하고, 1609년에는 상관에서의 활동을 통괄하는 동인도 총독을 두었다.그러나 VOC는 반텐에서 왕국의 경계로 인해 교역상의 성과를 거둘 수 없었기 때문에, 1619년 자야카르타(현재의 자카르타)에 새롭게 상관을 설치하고, 이곳을 "바타비아"로 고쳐 네덜란드 동방 무역의 거점으로 도시 건설을 추진했다. VOC는 말루쿠 제도에서의 향료 독점을 위해 암본 섬에서 포르투갈인을 몰아내고 반다 제도를 정복하는 등 무역 독점을 달성했다.[172]
VOC는 당초 항구와 상관을 중심으로 교역 독점으로 이익을 올렸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자바 섬 내륙으로 진출하여 영토를 획득했다. 획득한 영토에서 당시 유력 상품인 커피 등을 재배하여 수출하기 위해서였다. 이는 "점과 선"의 지배에서 "면"의 지배로 전환하려는 시도였다.
VOC는 자바 섬 내부 왕조 간 전쟁이나 왕가 내 후계자 다툼에 개입하여, 17세기 후반에는 마타람 왕국을 쇠퇴시키고, 1752년에는 반텐 왕국을 속국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영토 획득에 필요한 막대한 전비와 회사 자체의 방만한 경영으로 VOC의 경영은 악화되었고, 1799년 VOC는 해산되었다.[172] 이후 식민지 경영은 본국 네덜란드를 점령하고 있던 프랑스의 위성국이 된 바타비아 공화국이 담당했다.
2. 3. 영국 통치 시기 (1811년 ~ 1816년)
19세기 초,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 정세가 혼란(나폴레옹 전쟁 참고)에 빠지면서 네덜란드 본국은 프랑스에 병합되었고, 네덜란드의 해외 영토는 영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1811년부터 1816년까지 자바 섬의 식민지 경영을 담당한 사람은 동남아시아에서 영국의 식민지 경영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래플스였다. 래플스의 자바 섬 경영은 단기간에 끝났지만[173], 그가 시작한 토지 측량 및 세제 개혁은 그 이후 네덜란드의 식민지 경영에도 일부 계승되었다.
1814년 네덜란드와 영국 사이에서 체결된 런던 조약에서는 네덜란드가 수마트라 섬을, 영국이 말레이 반도를 각각 영향권에 두는 것을 상호 승인했다. 오늘날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간의 믈라카 해협에 큰 국경선이 그어진 것은 이 조약에서 비롯되었으며, 1824년의 영란 조약으로 확정되었다.
2. 4. 강제 재배 제도 시대 (1830년 ~ 1870년)
1820년대부터 1830년대에 걸쳐, 네덜란드는 벨기에의 독립(1830년), 자바 전쟁(1825년 ~ 1830년), 파드리 전쟁 등으로 인해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했다.[174] 1830년 7월 혁명의 영향으로 벨기에가 분리 독립하면서, 네덜란드 본국은 중요한 공업 지대를 잃었다. 동인도에서는 1825년 자바 섬 마타람 왕가의 디포네고로가 이끄는 반란(자바 전쟁)이 일어났고, 수마트라 섬에서도 이슬람 개혁파(파드리 파)와 반 파드리 파의 대립으로 파드리 전쟁이 일어나 군사비가 증가했다.이러한 재정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요하네스 판 덴 보쉬 총독은 강제 재배 제도(Cultuurstelsel, 쿨튀르스텔설)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현지 주민에게 커피, 사탕수수, 쪽(인디고), 차, 담배 등 상품 작물을 강제 재배시키고, 식민지 정부가 독점적으로 매입하는 방식이었다.[174] 식민지 정부는 농산물을 1824년 빌럼 1세가 설립한 Nederlandsche Handel-Maatschappij|네덜란드 상사nl를 통해 국제 시장에 판매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강제 재배 제도는 네덜란드 본국의 재정 적자를 해소하고, 산업 혁명기에 접어들던 네덜란드의 인프라 정비에 기여했다. 그러나 네덜란드 경제의 동인도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도 초래했다.
강제 재배는 현지 주민에게 큰 부담이었다. 수확된 농작물은 식민지 정부가 지정하는 싼 가격으로 강제 매입되었다. 벼농사를 짓던 논에 쪽이나 사탕수수 등 상업 작물 재배가 강제되었고, 흉작이 겹치면 심각한 기근으로 아사자가 발생하기도 했다.[174] 다만, 이 제도 시행 기간 중 자바 섬 인구가 거의 배로 증가했다는 점을 들어 부정적인 면만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174]
2. 5. 자유주의 정책 시대 (1870년 ~ 1901년)
1854년 란인 통치법 시행으로 강제 재배 제도가 완화되었고, 이후 자유주의 정책 법규에 의해 사실상 폐지되었다.[175] 그러나 강제 재배 제도로 인한 현지 주민들의 고통과 기아 실태는 에두아르트 데커르(멀타툴리)의 소설 막스 하벨라르(1860년)에 의해 고발되었다. 이 소설은 네덜란드 본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켜 강제 재배 제도에 대한 비판 여론을 높였다.[176] 그 결과, 1860년대 이후 강제 재배 제도는 국제 경쟁력을 잃은 품목부터 순차적으로 폐지되었다.한편, 산업 혁명으로 인해 석유 자원의 중요성이 국제 시장에서 커짐에 따라 유전 개발이 시작되었다. 1883년 수마트라 섬 동해안에서 유전 시추가 허가되었고, 1885년 채굴에 성공했다. 시추를 담당한 로열 더치 사는 오늘날 셸의 전신 중 하나이다.
2. 6. 윤리 정책 시대 (1901년 ~ 1942년)
자유주의 정책 시대 말기가 되자 현지인의 궁핍함이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현지인의 생활 상태 악화는 네덜란드 제품의 구매력을 감소시켜 네덜란드 자본에게도 좋지 않았다. 또한, 인도적인 이유로 네덜란드 본국에서는 기존의 자유주의를 고쳐 현지인의 복리 향상을 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해졌다.[177]1901년 이후, 윤리 정책이 시행되었다. 윤리 정책 시대에는 급여가 싼 현지인 하급 직원을 식민지 지배의 도구로 이용할 목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초등, 중등학교가 신설되었다. 또한, 의사 학교, 관료 양성 학교 등도 설치되었으며, 네덜란드 대학에 유학하는 사람도 점차 증가했다.[177]
윤리 정책으로 Regenten|레헨트nl(네덜란드에 의한 식민지 통치를 위한 현지인)는 인민으로부터 세습적인 권력과 위신을 무시당하고, 일반 인민과 동일하게 취급받게 되었다. 결사의 자유도 완화되어 비교적 단기간에 여러 조직(부디 우토모, 사레카트 이슬람 등)의 가입자가 수백만 명으로 증가했다.[178]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에 지식층, 반(反)지식층이 생겨났고, 현지인의 조직화도 진행되어 민족 자립의 기치가 내걸리게 되었지만, 여전히 인도네시아인에 의한 자치는 허용되지 않았고, 네덜란드에 의한 네덜란드를 위한 가혹한 식민지 지배는 계속되었다.
2. 7.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 군정 (1942년 ~ 1945년)
1939년 9월 1일 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1940년 5월 15일, 독일의 침공을 받은 네덜란드는 항복했고, 왕실은 영국으로 망명하여 망명 정부를 세웠다. 네덜란드 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독일 점령하에 있었다.네덜란드 본국이 항복한 후에도,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네덜란드 망명 정부 아래에서 식민지 군의 통치가 계속되었다. 이 때문에 1930년대 및 1940년 전후에는 일본과 현지 정부 사이에 전략 물자 조달을 위한 일란 회상이 진행되었다.
1942년 2월 말, 일본군이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침공했다. 약 10일 간의 전투 후, 식민지 군은 항복했고, 네덜란드인 일부는 오스트레일리아 등 인근 연합국으로 피신했다. 이후 동인도 전역은 일본의 군정 아래 놓였다. 이로써 "네덜란드에 의한 350년의 동인도 지배"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일본군은 이전까지 네덜란드 식민지 정부에 의해 탄압받던 수카르노와 하타 등 민족주의 운동가들과 협력했다. 또한, 인도네시아인을 군 정부 고관으로 등용하고, "인도네시아"라는 명칭 사용을 허용하는 등, 인도네시아인을 차별하고 탄압했던 네덜란드와는 달리 인도네시아인 우대 정책을 펼쳤다.[179]
1943년 5월, 일본은 인도네시아를 영구 확보 대상으로 결정했다.[180][181]
1943년 10월, 일본군의 협력을 얻어 인도네시아인 장교가 이끄는 "민족군"인 향토 방위 의용군(PETA)을 조직했다. 이처럼 일본 군정 아래서 인도네시아인들은 네덜란드 통치하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권한을 갖게 되었다.
1944년 9월 3일, 일본 정부는 인도네시아의 장래 독립을 인정하는 고이소 선언을 발표했다. 1945년 3월에는 독립 준비 조사회를 발족시켜 수카르노와 하타 등에게 독립 후 헌법을 심의하게 했다. 8월 7일에는 수카르노를 주석으로 하는 독립 준비 위원회를 발족시켜,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2. 8.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종말과 인도네시아 독립 (1945년 ~ 1949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무산될 뻔했으나, 8월 17일에 수카르노와 하타가 "민족의 이름으로"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했다.[1]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동인도를 재식민지화하려 했지만, 무장 세력(정규군, 비정규군을 불문하고 극히 일부에는 귀국길이 막힌 구 일본군 남방군 제대의 잔존 병력도 포함되었다)과의 무력 충돌이 빈번했다.[1] 향토 방위 의용군은 무장 세력의 중심이 되었고, 독립 후에는 초기 인도네시아 국군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었다.[1] 과거 네덜란드령 동인도라고 불렸던 영역은 인도네시아로 다시 태어나 네덜란드의 재침략을 거부했다.[1]
본토가 황폐화되고 국력이 저하된 네덜란드는 더 이상 독립 전쟁을 수행할 수 없었고, 4년간의 전쟁은 영국과 미국의 중재로 평화 협정에 이르렀으며, 인도네시아 연방 공화국의 성립이 승인되었다.[1]
3. 행정 구역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3개의 대관구(gouvernementen) - 그로트 오스트(Groot Oost), 보르네오(Borneo), 수마트라(Sumatra) - 와 자바(Java)의 3개 주(provincies)로 나뉘었다. 주와 대관구는 모두 레지던시(residencies)로 나뉘었지만, 주 산하의 레지던시는 다시 군(regentschappen)으로 나뉘었고, 대관구 산하의 레지던시는 군으로 세분되기 전에 먼저 구(afdeelingen)로 나뉘었다.[88]
1903년에 현재 인도네시아의 전신에 해당하는 주 제도가 도입되었다. 2개의 술탄 제 군주국도 있었다.
- 서자바주
- 중앙 자바주
- 동자바주
- 족자카르타 술탄국
- 수라카르타 술탄국
4. 법과 행정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은 식민지 정부의 최고 집행 책임자이자 식민지 군대(KNIL)의 최고 사령관이었다. 1903년까지 모든 정부 관리와 조직은 총독의 공식 대리인이었고, 예산은 '총독 사무실'의 중앙 행정에 의존했다.[75] 1815년까지 총독은 식민지 내 모든 출판물을 금지, 검열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절대적인 권한을 가졌으며, 법원의 개입 없이 평화와 질서를 해치는 것으로 간주되는 사람을 추방할 수 있는 '과도한 권한'도 가졌다.[76]
1848년까지 총독은 네덜란드 국왕이 직접 임명했고, 이후에는 국왕의 명에 따라 네덜란드 본국 내각의 조언을 받아 임명되었다. 1815-1835년 및 1854-1925년의 두 기간 동안 총독은 "라드 반 인디"(동인도 위원회)라는 자문 위원회와 공동으로 통치했다. 식민지 정책과 전략은 헤이그에 본부를 둔 식민부의 책임이었다. 1922년, 식민지는 네덜란드 헌법에서 네덜란드와 동등한 위치에 놓였지만, 식민부 관할 아래 남았다.[77]
네덜란드 정부는 자국의 법률 조항을 식민지에 적용했고, 법률 시스템은 유럽인, 외국인 오리엔탈(아랍인과 중국인), 토착민의 세 주요 민족 집단으로 분류되어 각기 다른 법률 시스템이 적용되었다.[81]
바타비아의 최고 법원인 대법원은 항소를 처리하고 식민지 전역의 판사와 법원을 감독했다. 6개의 사법 위원회("Raad van Justitie")는 주로 유럽 법률 계급에 속한 사람들이 저지른 범죄를 처리했고,[82] 토착 인구는 간접적으로만 관여했다. 토지 위원회("Landraden")는 재산 분쟁, 결혼 분쟁과 같은 민사 문제 및 덜 심각한 범죄를 처리했다. 토착 인구는 각각의 아다트 법률과 토착 섭정 및 지방 법원의 적용을 받았으며, 사건이 네덜란드 판사에게 이송되지 않는 한 그러했다.[83][84]
1920년까지 네덜란드는 식민지 전역에 350개의 교도소를 설립했다. 정치범 수용소도 운영했다. 1926년 공산주의 봉기에 대한 대응으로 뉴기니에 "보번-디고엘" 수용소가 설립되었다. 1927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 독립을 옹호하는 토착 인도네시아인을 포함한 정치범들은 외딴 섬으로 '추방'되었다.[87]
5. 군사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KNIL)과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 항공대(ML-KNIL)는 각각 1814년과 1915년에 창설되었다. 수라바야에는 네덜란드 해군의 해군력이 주둔했으며, 식민지 정부 해군이 이를 보조했다.[89]
KNIL은 네덜란드 육군의 일부가 아닌 총독의 지휘를 받는 별도의 군사 조직으로, 식민지 예산으로 운영되었다. KNIL은 네덜란드 징집병을 모집할 수 없었고, 네덜란드 자원병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특히 독일, 벨기에, 스위스 용병) 출신 용병을 모집하여 '외인 부대'와 같은 성격을 띠었다.[89] 장교는 대부분 유럽인이었지만, 병사의 대다수는 자바인과 순다인 등 원주민 인도네시아인이었다.[90]
19세기 말, 군사력 균형은 산업화된 네덜란드와 산업화 이전의 인도네시아 원주민 정치체로 기울었고, 기술 격차가 커졌다. 1941년 12월 일본의 침략 직전, 동인도에 주둔한 네덜란드 정규군은 약 1,000명의 장교와 34,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28,000명이 원주민이었다. 1941–42년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역 동안 KNIL과 연합군은 빠르게 패배했다.[9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된 KNIL은 네덜란드 육군 병력과 합류하여 식민지 "법과 질서"를 재건하려 했다. 1947년과 1948–1949년에 두 차례의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펼쳤으나, 네덜란드의 식민지 재건 노력은 실패했고, 1949년 12월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인정했다.[97] KNIL은 1950년 7월 26일에 해산되었으며, 원주민 병력은 제대하거나 인도네시아 군대에 합류하는 선택권을 받았다.[98] 해산 당시 KNIL은 65,000명이었고, 이 중 26,000명이 새로운 인도네시아 육군에 편입되었다. 나머지는 제대하거나 네덜란드 육군으로 전출되었다.[99]
6. 인구 통계
1898년 자바의 인구는 2,800만 명이었고 인도네시아 외곽 섬에는 700만 명이 더 있었다.[100] 20세기 전반기에는 네덜란드인 및 기타 유럽인들의 대규모 이민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정부 또는 민간 부문에서 일했다. 1930년까지 유럽 법적 지위를 가진 사람은 24만 명 이상이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0.5% 미만이었다.[101] 이 유럽인의 거의 75%는 인도-유럽인으로 알려진 토착 유라시아인이었다.[102]
순위 | 집단 | 인원 | 비율 |
---|---|---|---|
1 | 토착 섬 주민(프리부미) | 59,138,067 | 97.4% |
2 | 중국인 | 1,233,214 | 2.0% |
3 | 네덜란드인 및 유라시아인 | 240,417 | 0.4% |
4 | 기타 외국 동양인 | 115,535 | 0.2% |
총계 | 60,727,233 | 100% |
네덜란드 식민주의자들은 군인, 행정가, 관리자, 교사 및 개척자로 구성된 특권적인 상류 사회 계급을 형성했다. 그들은 원주민들과 함께 살았지만, 엄격한 사회적, 인종적 카스트 제도의 최상위에 있었다.[104][105] 네덜란드령 동인도에는 유럽인, 토착민, 그리고 1920년에 추가된 외국 동양인의 세 가지 법적 시민 계급이 있었다.[106]
7. 경제
식민지 경제는 네덜란드 본국의 경제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113] 네덜란드는 토지세 수입이 증가했지만, 자바 전쟁과 파드리 전쟁 비용으로 재정이 어려웠고, 1830년 벨기에 독립으로 파산 직전에 놓였다. 같은 해 요하네스 반 덴 보쉬 총독은 동인도 개발을 통해 자원을 착취하도록 임명되었다. 네덜란드가 자바 전역을 지배하게 되면서,[114] 정부 통제의 강제 경작 정책, 즉 ''cultuurstelsel''(경작 시스템) 또는 ''tanam paksa''(강제 농장)가 도입되었다. 농민들은 세금 대신 설탕, 커피 등 특정 작물을 정해진 양만큼 납부해야 했다.[115] 자바 대부분이 네덜란드 농장이 되면서 수입은 꾸준히 증가했고, 이 수입은 네덜란드의 파산을 막는 데 사용되었다.[30][115] 1830년부터 1870년까지 80억유로가 동인도에서 네덜란드로 유출되었는데, 이는 네덜란드 정부 연간 예산의 평균 3분의 1에 해당한다.[117][118] 그러나 경작 시스템은 자바 농민들에게 큰 경제적 어려움을 가져왔고, 1840년대 기근과 전염병으로 고통받게 했다.[30]
네덜란드 내 비판 여론은 "자유주의 시대" 농업 개혁으로 이어져 경작 시스템의 과도한 부분을 제거하게 했다. 강제 노동 시스템 폐지 이전인 1870년대 후반 자바의 사망률은 10~20% 더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19] 1850년 이후 네덜란드 사유 자본 유입이 증가했는데, 특히 주석 채굴과 농장 농업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마르타비우스 회사의 수마트라 동부 해안 주석 광산은 빌럼 3세 국왕의 동생을 포함한 네덜란드 기업가들이 자금을 조달했다. 1863년 야콥 니엔하위스는 델리 술탄국(동수마트라)으로부터 대규모 담배 농장(델리 회사) 권리를 획득했다.[120] 1870년부터 동인도는 사기업에 개방되었고, 쿨리를 통한 노동 착취로 네덜란드 사업가들은 대규모 농장을 설립했다. 설탕 생산은 1870년에서 1885년 사이 두 배로 증가했고, 차와 키나 같은 새로운 작물이 번성했으며, 고무 도입으로 네덜란드 수익은 크게 증가했다. 변화는 자바와 농업에만 국한되지 않았고, 수마트라와 칼리만탄의 석유는 산업화된 유럽에 중요한 자원이었다. 네덜란드 상업 이익은 자바를 넘어 다른 섬으로 확장되었고, 19세기 후반 더 많은 영토가 네덜란드 통제하에 놓였다.[30] 그러나 쌀 생산을 위한 토지 부족과 자바 인구 급증은 어려움을 가중시켰다.[30]
인도네시아 인구와 부의 식민지적 착취는 네덜란드 산업화에 기여했고, 동시에 인도네시아 산업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네덜란드는 커피, 차, 카카오, 담배, 고무를 도입했고, 자바의 넓은 지역은 자바 농민이 경작하고 중국 중개인이 수집, 유럽 상인이 해외 시장에 판매하는 농장이 되었다.[30] 19세기 후반 경제 성장은 차, 커피, 키나에 대한 세계 수요 증가에 기반했다. 정부는 철도(1873년 150km, 1900년 1200km), 전신선에 투자했고, 기업가들은 은행, 상점, 신문을 열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세계 퀴닌과 후추 공급량의 대부분, 고무의 3분의 1 이상, 코코넛 제품의 4분의 1, 차, 설탕, 커피, 오일의 5분의 1을 생산했다. 이 이익으로 네덜란드는 세계 주요 식민 강국 중 하나가 되었다.[30] 코닌클리케 파켓바르트-마atschapp이 해운 회사는 식민지 경제 통합을 지원, 싱가포르가 아닌 바타비아를 통해 섬 간 운송을 하여 자바에 경제 활동을 집중시켰다.[121]
1880년대 후반 및 1890년대 초의 세계적인 불황으로 식민지가 의존하던 상품 가격이 폭락했다. 언론인과 공무원들은 동인도 인구 대다수가 이전의 규제된 경작 시스템 경제보다 나아지지 않았고, 수만 명이 굶주리고 있다고 지적했다.[122] 상품 가격이 회복되면서 식민지에 대한 투자가 증가했다. 설탕, 주석, 코프라, 커피 무역이 번성했고, 고무, 담배, 차, 오일도 주요 수출품이 되었다.[123] 정치 개혁으로 지역 식민 행정부 자율성이 높아졌고, 권한은 중앙 바타비아 정부에서 지역 단위로 이전되었다.
1890년대 후반 세계 경제 회복으로 번영이 돌아왔다. 영국 등 외국 투자가 장려되었다. 1900년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외국 소유 자산은 약 3억달러였으며, 대부분 자바에 있었다.[124]
1950년까지 아스팔트 도로 12000km, 금속 도로 41000km, 자갈 표면 16000km가 건설되었다.[126] 또한 철도 7500km, 다리, 1.4e6ha 논 관개 시스템, 여러 항구, 140개 공공 식수 시스템이 건설되었다.
8. 문화
초기 식민지 시대에는 네덜란드 식민지인들이 원주민 여성을 성 노예로 삼는 관행이 있었으나, 1860년 노예 제도가 폐지되면서 사라졌다. 19세기 후반, 네덜란드 이민자들이 늘어나면서 여성 부족 현상이 발생했고, 이에 네덜란드인들은 원주민 여성인 "Njai"를 첩으로 삼았다. Njai는 계약 노동자였지만 권리가 거의 없었고, "토착 가구"(''Inlands Meubel'')라고 불리며 집과 함께 매매되었다. 또한 네덜란드인 주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에 대한 양육권도 허용되지 않았고, 해고 시 자녀를 빼앗겼다.[57]
1910년대에 Njai의 수는 감소했지만 매춘은 증가했다. 일본 제국이 인도를 점령하면서 Njai와 그들의 혼혈 자녀는 유럽인 남성과 강제로 분리되었다. 수카르노가 독립을 선포한 후, Njai는 파트너와 함께 유럽으로 가거나 인도네시아에 남는 것을 선택해야 했다.
1930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인구 조사를 보면, 토착 섬 주민(프리부미)가 97.4%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중국인(2.0%), 네덜란드인 및 유라시아인(0.4%) 순이었다.[103]
순위 | 집단 | 인원 | 비율 |
---|---|---|---|
1 | 토착 섬 주민(프리부미) | 59,138,067 | 97.4% |
2 | 중국인 | 1,233,214 | 2.0% |
3 | 네덜란드인 및 유라시아인 | 240,417 | 0.4% |
4 | 기타 외국 동양인 | 115,535 | 0.2% |
총계 | 60,727,233 | 100% |
네덜란드 식민주의자들은 군인, 행정가, 관리자, 교사, 개척자 등으로 구성된 상류층을 형성했다. 이들은 원주민과 함께 살았지만, 엄격한 사회적, 인종적 카스트 제도의 최상위에 있었다.[104][105] 유럽인과 토착민의 두 가지 법적 시민 계급이 있었고, 1920년에는 외국 동양인 계급이 추가되었다.[106]
1901년 네덜란드는 윤리 정책을 채택하여 인도네시아인의 건강과 교육을 증진하려 했다. 이 정책에는 관개, 이주, 통신, 홍수 완화, 산업화, 토착 산업 보호 등이 포함되었다.[107] 그러나 산업화는 인도네시아인 대다수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인도네시아는 농업 식민지로 남았다. 1930년까지 인구 5만 명 이상인 도시는 17개였고, 총 인구는 187만 명이었다.[45]
네덜란드 학교 시스템은 인도네시아인에게 확대되었고, 가장 권위 있는 학교는 네덜란드 아이들과 인도네시아 상류층 자녀들을 받아들였다. 민족에 따라 학교가 나뉘어 있었고, 네덜란드어로 네덜란드식 커리큘럼으로 가르쳤다. 일반 인도네시아인은 말레이어로 교육받았고, "연결" 학교는 뛰어난 학생들을 네덜란드어 학교 입학을 위해 준비시켰다.[108] 직업 학교는 식민지 경제에서 특정 역할을 위해 토착 인도네시아인을 훈련시켰다. 중국인과 아랍인은 직업 학교나 초등학교에 등록할 수 없었다.[109]
네덜란드 학교 졸업생들은 자체 학교를 열었고, 기독교 선교사, 신지학회, 인도네시아 문화 협회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학교의 확산은 세속적인 과목도 제공하는 서구식 이슬람 학교에 의해 더욱 촉진되었다.[108] 193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인의 6%가 문맹이었지만, 이는 서구 학교 졸업생과 로마자 알파벳 언어로 읽고 쓸 수 있는 사람만 포함한 수치였다.[108]
몇몇 고등 교육 기관도 설립되었다. 1898년 의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School tot Opleiding van Inlandsche Artsen''(STOVIA)가 설립되었다. 많은 STOVIA 졸업생들은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0년 기술 자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De Technische Hogeschool te Bandung''이 설립되었다. 수카르노는 ''Technische Hogeschool'' 졸업생 중 한 명이었다. 1924년 민간 관리와 공무원을 훈련시키기 위해 ''Rechts Hogeschool''(RHS)이 개설되었다. 1927년 STOVIA는 정규 고등 교육 기관으로 변경되었고, ''Geneeskundige Hogeschool''(GHS)로 이름이 바뀌었다. GHS는 현재 인도네시아 대학교 의과대학과 같은 건물을 사용했다. 네덜란드와 인도네시아 간의 유대는 관개 설계와 같은 기술 분야에서 여전히 분명하게 드러난다.[110] 인도네시아 대학교(1898년 설립)와 반둥 공과대학교(1920년 설립)는 모두 식민 시대에 설립되었다.[111][112]
교육 개혁과 완만한 정치 개혁으로 인해 독립적이고 통일된 "인도네시아"의 아이디어를 장려하는 소수의 고도로 교육받은 토착 인도네시아 엘리트가 생겨났다. 인도네시아 민족 부흥이라고 불리는 이 시기는 민족주의 운동이 발전했지만 네덜란드의 억압에 직면했다.[30]
8. 1. 언어와 문학
수백 개의 토착 언어가 사용되는 이 군도에서 무역 언어였던 말레이어 또는 포르투갈어 기반 크리올어가 채택되었다. 1870년 이전, 네덜란드 식민지 영향력이 자바에 국한되었을 때, 말레이어는 정부 학교와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어 졸업생들이 자바에 이주한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127] 식민 정부는 리아우와 말라카의 버전을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준화하려 했고, 토착민을 위한 정부 소통 및 학교용 사전을 위탁했다.[128] 20세기 초, 인도네시아 독립 지도자들은 리아우 출신의 말레이어 형태를 채택하여 이를 인도네시아어라고 불렀다. 19세기 후반에는 수백 개의 언어 그룹이 사용되던 나머지 군도가 네덜란드 통치하에 들어갔다. 이러한 지역으로 토착 교육 프로그램을 확장하면서, 정부는 이 "표준 말레이어"를 식민지의 언어로 규정했다.[129]네덜란드어는 식민지의 공식 언어가 되지 않았고, 인도네시아 토착민에게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130] 법적으로 인정된 네덜란드인의 대부분은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인도-유라시아인이었다.[131] 네덜란드어는 소수의 교육받은 엘리트층만 사용했고, 1942년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체 인구의 약 2%가 네덜란드어를 사용했으며, 여기에는 100만 명이 넘는 토착 인도네시아인이 포함되었다.[132] 많은 수의 네덜란드 차용어가 현재 인도네시아어에 사용되며, 특히 전문 용어에서 두드러진다 (인도네시아어의 네덜란드어 차용어 목록 참조). 이 단어들은 일반적으로 말레이어에 대안이 없었고 인도네시아 어휘에 채택되어 네덜란드 식민 유산의 일부인 개념에 대한 언어학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헨드릭 마이어는 현대 인도네시아어의 약 5분의 1이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133]
네덜란드어 문학은 네덜란드 황금 시대부터 현재까지 식민지 및 탈식민지 인도에서 영감을 받았다. 여기에는 네덜란드, 인도-유럽 및 인도네시아 작가가 포함된다. 그 주제는 네덜란드 식민 시대와 관련이 있지만 탈식민주의 문학 담론도 포함한다. 이 장르의 걸작으로는 멀타툴리의 ''막스 하벨라르: 네덜란드 무역 회사의 커피 경매'', 루이 쿠페러스의 ''숨겨진 힘'', E. 뒤 페론의 ''출생지'', 마리아 데르무트의 ''만 가지 것들''이 있다.[134][135]
대부분의 네덜란드 문학은 네덜란드 및 인도-유럽 작가가 썼다. 그러나 20세기 전반기 윤리 정책 하에서, 인도네시아 토착 작가와 지식인들이 네덜란드로 유학 및 일을 하러 왔다. 그들은 네덜란드어로 문학 작품을 쓰고 ''Het Getij'', ''De Gemeenschap'', ''Links Richten'', ''Forum''과 같은 문학 평론에 작품을 게재했다. 새로운 문학 주제를 탐구하고 토착 주인공에 초점을 맞춰 토착 문화와 토착민의 고통에 주목했다. 예로는 자바의 왕자이자 시인인 노토 수에로토, 작가 겸 언론인, 그리고 수와르시 조요푸스피토, 차이릴 안와르, 카르티니, 수탄 샤르리르, 수카르노의 네덜란드어 저술 등이 있다.[136] 네덜란드령 동인도 문학의 많은 탈식민주의 문학 담론은 "전위적인 비전가"인 찰리 로빈슨을 필두로 한 인도-유럽 작가들이 썼으며, 그는 현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네덜란드 작가이고,[137] 마리온 블렘과 같은 2세대 인도-유럽 이민자들도 있다.
8. 2. 시각 예술
동인도의 자연미는 예술가와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식민지 시대 인도네시아의 낭만적인 풍경을 주로 담아냈다. ''무이 인디''(Mooi Indië, 네덜란드어로 "아름다운 인도네시아")라는 용어는 원래 1930년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된 뒤 샤텔(Du Chattel)의 수채화 11점의 제목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인도의 풍경을 묘사했다. 이 용어는 S. 수조조노(S. Sudjojono)가 인도네시아의 아름다운 것들만 묘사하는 화가들을 조롱하기 위해 사용한 후 1939년에 유명해졌다.[138] ''무이 인디''는 이후 식민지 시대 동인도에서 발생한 회화 장르로, 산, 화산, 논, 강 계곡, 마을과 같은 자연 풍경을 주요 테마로 하여, 원주민 하인, 귀족, 때로는 상반신을 노출한 원주민 여성들의 모습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
주목할 만한 ''무이 인디'' 화가로는 유럽 예술가 F. J. du Chattel, Manus Bauer, Nieuwkamp, Isaac Israel, PAJ Moojen, Carel Dake, Romualdo Locatelli|로무알도 로카텔리it와 동인도 출생의 네덜란드 화가 Henry van Velthuijzen, Charles Sayers, Ernest Dezentje, Leonard Eland, Jan Frank, 원주민 화가 라덴 살레, Mas Pirngadi, Abdullah Surisubroto, Wakidi, 바수키 압둘라, Mas Soeryo Soebanto, Henk Ngantunk, 그리고 중국 화가 리 만퐁, Oei Tiang Oen, Siauw Tik Kwie 등이 있다. 이 화가들은 주로 Bataviasche Kuntkringgebouw, Theosofie Vereeniging, Kunstzaal Kolff & Co 및 호텔 데스 인데스와 같은 미술관에서 작품을 전시했다.
8. 3. 극장과 영화
1926년부터 1949년 식민지 해체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총 112편의 극영화가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영화는 해외에서 수입되었으며, 1900년 말에 상영되었고,[139] 1920년대 초에는 현지화된 제목으로 수입된 연속극과 극영화가 상영되었다.[139] 네덜란드 회사들도 네덜란드에서 상영할 동인도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했다.[139] 최초의 현지 제작 영화인 루퉁 카사룽은 L. 헤우벨도르프가 감독했으며 1926년 12월 31일에 개봉했다.[139]1926년부터 1933년까지 많은 다른 현지 작품들이 개봉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는 대공황의 결과로 제작이 감소했다.[139] 1942년 초에 시작된 일본 점령 이후에는 영화 스튜디오가 하나만 남고 모두 문을 닫아 제작 속도가 다시 감소했다.[139] 점령 기간 동안 제작된 영화의 대부분은 일본의 선전 단편 영화였다.[139] 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이후와 그 뒤의 혁명 동안 친 네덜란드와 친 인도네시아 후원자 모두에 의해 여러 편의 영화가 제작되었다.[139]
일반적으로 동인도에서 제작된 영화는 전통적인 이야기를 다루거나 기존 작품을 각색한 것이었다.[139] 초기 영화는 무성 영화였으며, 카르나디 아네메르 방콩(1930)이 일반적으로 최초의 토키로 여겨진다.[139] 이후 영화는 네덜란드어, 말레이어 또는 토착 언어로 제작되었다. 모든 영화는 흑백 영화였다.

8. 4. 과학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풍부한 자연과 문화는 유럽 지식인, 과학자 및 연구자들을 매료시켰다. 요하네스 엘리아스 테이스만, 프란츠 빌헬름 융훈, 크리스티안 에이크만, 외젠 뒤부아,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등이 동인도 제도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국립 인도네시아 박물관의 전신인 ''바타비아학술원(Bataviaasch Genootschap van Kunsten en Wetenschappen)''은 1778년에 설립되어 예술 및 과학, 특히 역사, 고고학, 민족지학, 물리학 분야의 연구를 장려하고 결과를 출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보고르 식물원은 ''보고르 식물표본관(Herbarium Bogoriense)'' 및 ''보고르 동물학 박물관(Museum Zoologicum Bogoriense)''과 함께 1817년에 설립되어 제도의 동식물을 연구하는 주요 식물학 연구의 중심지였다.
자바 원인은 1891년 외젠 뒤부아에 의해 발견되었다. 코모도왕도마뱀은 1911년 비행기 추락 사고와 1910년 코모도 섬에 살아있는 공룡에 대한 소문이 돈 후, 1912년 페테르 아우엔스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비타민 B1과 각기병과의 관계는 크리스티안 에이크만이 인도에서 연구하는 동안 발견했다.[141][142]
8. 5. 요리
네덜란드 식민지 가족들은 하인과 요리사를 통해 인도네시아 요리에 노출되었고, 그 결과 토착 열대 향신료와 요리에 대한 취향을 갖게 되었다.[143] 대표적인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지 요리로는 라이스타펠(rijsttafel)이 있는데, 이는 식민지 전역의 7개에서 40개 요리로 구성된 밥상이다.[143] 라이스타펠은 요리라기보다는 사치스러운 연회에 가까운데, 네덜란드 식민지인들이 한 번의 식사로 다양한 요리를 즐길 수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식민지의 이국적인 풍요로움을 방문객들에게 과시하기 위해 도입되었다.[143]
식민지 시대에 네덜란드는 빵, 치즈, 바비큐 스테이크, 팬케이크와 같은 유럽 요리를 소개했다. 현금 작물 생산국으로서 커피와 차 또한 식민지 동인도에서 인기가 있었다. 빵, 버터, 마가린, 햄, 치즈 또는 과일 잼을 넣은 샌드위치, 포퍼테스(poffertjes), 파네코크(pannekoek) 및 네덜란드 치즈는 식민지 시대에 네덜란드 식민지인과 인도인(Indo people)들이 일반적으로 소비했다. 일부 토착 상류층 '닝라트'(귀족)와 소수의 교육받은 토착민들은 유럽 요리에 노출되었고, 이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사회의 상류층 엘리트 요리로 여겨졌다. 이는 유럽 요리를 인도네시아 요리에 채택하고 융합하는 결과를 낳았다. 네덜란드의 영향을 받은 식민지 시대 요리에는 셀라트 솔로(selat solo, 솔로 샐러드), 비스티크 자와(Javanese beef steak, 자바 쇠고기 스테이크), 스무르(semur, 네덜란드어 'smoor'에서 유래), 사유르 카창 메라(sayur kacang merah, 브레네본), 솝 분툽(sop buntut) 등이 있다. 쿠에 볼루(kue bolu, 타르트), 판단 케이크, 라피스 레짓(스페코크(spekkoek)), 스피쿠(spiku, 라피스 수라바야), 클라페르타르트(klappertaart, 코코넛 타르트), 카스탕엘스(kaasstengels, 치즈 쿠키) 등은 케이크와 쿠키 또한 네덜란드 영향에서 기원했다. 학교와 시장 앞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쿠에 쿠비트(kue cubit)는 포퍼테스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44]
8. 6. 건축
16세기와 17세기에 유럽 열강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면서 이전에는 거의 전적으로 목재와 그 부산물을 사용하던 인도네시아에 석조 건축이 도입되었다. 17세기와 18세기에 바타비아는 요새화된 벽돌과 석조 도시였다.[145] 식민주의자들은 거의 2세기 동안 유럽 건축 습관을 열대 기후에 적응시키기 위해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146] 그들은 작은 창문이 있는 통풍이 잘 안 되는 연립 주택을 지었는데, 이것은 열대 공기에서 오는 열대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46] 수년 후, 네덜란드인들은 현지 건축 특징(긴 처마, 베란다, 포르티코, 큰 창문 및 통풍구)을 사용하여 건축 양식을 적응시키는 것을 배웠고,[147] 18세기 ''네덜란드령 동인도 컨트리 하우스''는 인도네시아 건축 요소를 통합하고 기후에 적응한 최초의 식민지 건물 중 하나였으며, 이후 인도 스타일로 알려졌다.[148]
19세기 말부터 기술, 통신 및 운송의 상당한 개선으로 자바에 새로운 부가 생겼다. 기차역, 비즈니스 호텔, 공장 및 사무실 건물, 병원 및 교육 기관을 포함한 모더니즘 건물은 국제적인 스타일에 영향을 받았다. 20세기 초의 경향은 본질적으로 유럽식 건물에 인도네시아식 장식을 곁들여 표현된 모더니즘의 영향, 예를 들어 아르 데코였다. 이전의 인도 스타일에서 물려받은 환경에 대한 실용적인 대응으로, 처마돌이, 더 큰 창문 및 벽의 통풍이 포함되었고, 이로 인해 뉴 인도 스타일이 탄생했다.[149] 식민지 시대 건물의 가장 큰 재고는 반둥, 자카르타, 세마랑, 수라바야와 같은 자바의 대도시에 있다. 주목할 만한 건축가 및 도시 계획가로는 알베르트 알버스, 토마스 카르스텐, 앙리 맥클레인 퐁, J. 게르버, C. P. W. 쇼메이커가 있다.[150]
8. 7. 패션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지에서 패션은 개인의 지위와 사회 계급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다.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은 네덜란드나 파리에서 들여온 유럽 패션을 따랐고, 원주민들은 각 지역의 고유한 전통 의상을 입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네덜란드의 영향력이 커지자, 많은 원주민들이 전통 의상에 유럽 스타일을 섞어 입기 시작했다.[154]

네덜란드령 동인도 후기에 새로운 유럽인들이 식민지로 유입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인도네시아 스타일을 채택했고, 심지어 집에서 전통적인 자바 케바야를 입는 사람들도 많았다.[156] 케바야와 바틱 사롱은 시간이 지나면서 네덜란드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네덜란드인들은 값비싼 직물과 유럽 패턴으로 자신들을 구별했다.[155] 바틱은 네덜란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 기술은 매우 매력적이어서 아프리카 패턴과 함께 채택되어 아프리카 식민지로 전해졌다.[157]
9. 식민 유산
네덜란드 왕가가 1815년에 수립되었을 때, 그 부의 상당 부분은 식민지 무역에서 나왔다.[161] 레이던 대학교와 같은 대학교들은 동남아시아 및 인도네시아 연구의 선도적인 지식 센터로 발전했다.[162] 레이던 대학교는 원주민 오리엔탈(인도네시아) 문제 전문가인 식민지 고문 크리스티안 스노크 휘르흐로네와 같은 학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까지 인도네시아 언어와 문화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레이던 대학교와 특히 KITLV는 오늘날까지 인도네시아 연구에 대한 지적, 역사적 관심을 공유하는 교육 및 과학 기관이다. 네덜란드의 다른 과학 기관으로는 인도네시아 예술, 문화, 민족지학 및 인류학의 방대한 컬렉션을 보유한 인류학 박물관인 암스테르담 트로펜뮤지엄이 있다.[110]
KNIL의 전통은 현대 네덜란드 왕립 육군의 판 호이츠 연대에 의해 유지되며, 퇴역한 KNIL 군인들을 위한 옛 집인 헌신적인 ''브론베이크 박물관''은 오늘날까지 아른헴에 존재한다.
독립 후 네덜란드로 돌아온 많은 생존 식민지 가족과 그 후손들은 식민지 시대에 그들이 식민지에서 누렸던 권력과 명성에 대한 감각으로 회고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예를 들어 작가 롭 니우엔후이스의 1970년대 책 ''Tempo Doeloe''(옛 시절)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널리 퍼진 다른 책과 자료들이 있다.[164] 18세기 이후 네덜란드 문학에는 루이 쿠페러스와 같은 저명한 작가들이 식민지 시대를 중요한 영감의 원천으로 삼았다.[165] 네덜란드 문학의 위대한 걸작 중 하나는 멀타툴리가 1860년에 자바에서 착취적인 네덜란드 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쓴 책 "막스 하벨라르"이다.[166]
인도네시아 혁명 이후 그리고 그 기간 동안 네덜란드로 송환된 대다수의 네덜란드인들은 인도인(유라시아인)이며, 네덜란드령 동인도 섬 출신이다. 이 비교적 큰 유라시아 인구는 400년에 걸쳐 발전했으며 식민지법에 의해 유럽 법률 공동체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67] 네덜란드어로 그들은 인도인(인도-유럽인의 약자)이라고 불린다. 296,200명의 소위 네덜란드 '귀환자' 중 92,200명만이 네덜란드에서 태어난 해외 거주 네덜란드인이었다.[168]
그들의 2세대 후손을 포함하여, 그들은 현재 네덜란드에서 가장 큰 외국 태생 집단이다. 2008년 네덜란드 통계청(CBS)[169]는 네덜란드에 거주하는 387,000명의 1세대 및 2세대 인도인을 등록했다.[170] 네덜란드 사회에 완전히 동화된 것으로 간주되지만, 네덜란드의 주요 소수 민족으로서, 이 '귀환자'들은 네덜란드 주류 문화에 인도네시아 문화 요소를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네덜란드의 거의 모든 마을에는 '토코'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상점) 또는 인도네시아 레스토랑[171]이 있으며, 연중 여러 번 '파사르 말람'(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로 야시장) 박람회가 열린다.
많은 인도네시아 요리와 식료품이 네덜란드 요리에서 흔하게 사용되게 되었다. 식민지 요리 개념인 라이스타펠과 나시고랭 및 사테와 같은 요리는 네덜란드에서 여전히 매우 인기가 있다.[144]
10. 일본과의 관계
1879년경, 일본인들이 폰티아낙으로 건너갔다고 전해진다.[182] 란령 동인도에서는 유럽계 주민과 원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별개의 차별적 법 체계가 존재했지만, 일본인 이주자, 재류자는 원칙적으로 유럽계 주민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
1916년 이전에 수라바야시에 일본인이 진출했으며, 대만 국적의 일본인도 적지 않았다.[182] 같은 해 미쓰이물산 출장소, 대만은행 출장소, 오사카 후쿠시마 양행, 도쿄 시오야 상회 지점, 동인도 무역 조합, 하시다, 오카자키, 다카하시, 그 외 두세 곳의 잡화점이 있었다.[182]
1920년 10월, 바타비아에서 일간 일본어 신문인 자와일보가 발간되었다.[183] 남양협회 자와 지부는 월간지인 란령 동인도 시보를 발행했다.[183]
1933년 9월, 란령 동인도 정부는 일본 상품의 진출을 막기 위해 긴급 수입 제한령을 발포하여 시멘트와 맥주 수입을 제한했다.[184] 일본 외무성이 대책을 강구하고 있을 때, 네덜란드 정부가 무역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회의 개최를 희망했기 때문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일본에 불리한 새로운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걸고, 1934년 6월 8일부터 일란 회상이 시작되었지만, 1934년 12월 21일에 성과 없이 일시 중단되었다.[184] 회의 중에도 란령 동인도 정부는 약속을 무시하고 도자기, 철 프라이팬, 살롱 면포, 표백 면포의 수입 제한을 새롭게 시작했으며, 회의 중단 후에는 40여 종의 상품에 대해 제엄령을 남발하여, 일본과 란령 동인도는 대립 상태가 되었다.[184] 1942년, 일본군이 란령 작전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점령했다. 이는 항복 후에도 9월까지 계속되었다.
참조
[1]
서적
Surabaya City Of Work: A Socioeconomic History, 1900–2000 (Ohio RIS Southeast Asia Series)
Ohio University Press
2002
[2]
웹사이트
Page: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ædia 1st ed. v. 18.djvu/816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https://en.wikisourc[...]
2018-12-27
[3]
웹사이트
INDES NEERLANDAISES Passeport 1931 DUTCH EAST INDIES Passport - Revenues - Delcampe.net
https://web.archive.[...]
2015-05-27
[4]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
[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
[6]
서적
Empires and Colonies
https://books.google[...]
Polity
2015-07-19
[7]
간행물
Indonesian Economic History in the Dutch Colonial Era
1990
[8]
문서
[9]
서적
The idea of Indonesia: A history
2008
[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
[11]
웹사이트
How studying 1945-1949 wars can benefit Indonesia - The Jakarta Post
https://historibersa[...]
2023-11-21
[12]
웹사이트
Decolonization of the Dutch East Indies/Indonesia {{!}} EHNE
https://ehne.fr/en/e[...]
2023-11-21
[1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n since c.1300
The Macmillan Press Limited
1991
[14]
서적
Dagh-register gehouden int Casteel Batavia vant passerende daer ter plaetse als over geheel Nederlandts-India anno 1624–1629.
[15]
간행물
Dutch Culture Overseas: Colonial Practice in the Netherlands Indies, 1900–1942
https://www.questia.[...]
[16]
문서
2003
[17]
문서
1991
[18]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
[19]
문서
2005
[20]
문서
1991
[21]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
[22]
논문
"The World's Oldest Trade": Dutch Slavery and Slave Trade in the Indian Oce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2024-01-13
[23]
웹사이트
Indonesië krijgt geen excuses, terwijl de slavenhandel daar juist floreerde
https://www.parool.n[...]
2023-02-13
[24]
논문
"The World's Oldest Trade": Dutch Slavery and Slave Trade in the Indian Oce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2024-01-13
[25]
간행물
Daar werd wat gruwelijks verricht: Slavernij in Nederlands-Indië
Athenaeum
2021
[26]
간행물
Daar werd wat gruwelijks verricht: Slavernij in Nederlands-Indië
Athenaeum
2021
[27]
웹사이트
Over deze Nederlandse slavernijgeschiedenis hebben we het nooit
https://decorrespond[...]
2023-02-13
[28]
웹사이트
Slavernij en slavenhandel in Nederlands-Indië (1820–1900)
https://www.nationaa[...]
2023-02-13
[29]
간행물
Riding the Dutch Tiger: The Dutch East Indies Company and the Northeast Coast of Java, 1680–1743
1996
[30]
서적
Indonesia
Lonely Planet
[31]
서적
A Nation in Waiting: Indonesia in the 1990s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32]
서적
Java
Periplus Editions
[33]
문서
1991
[34]
웹사이트
Het beleid der Commissie Generaal; de uitwerking der beginselen van 1815 in het Regeerings Reglement van 1818 (dissertation)
https://www.biblioth[...]
2023-03-18
[35]
웹사이트
KERAJAAN ADAT KEPAKSIAN PERNONG SEKALA BRAK MENJAWAB SEJARAH_compressed.PDF
https://drive.google[...]
2022-08-04
[36]
웹사이트
Paksi Pak Skala Brak"Gedung Dalam Kepaksian Pernong"
https://cahayaagung.[...]
2022-02-11
[37]
서적
Vickers (2005), p. 10; Ricklefs (1991), p. 131
[38]
서적
Ricklefs (1991), p. 131
[39]
서적
Ricklefs (1991), p. 142
[40]
서적
Ricklefs (1991), pp. 138–139
[41]
서적
Friend (2003), p. 21
[42]
서적
Krakatoa : the day the world exploded, August 27, 1883
https://www.worldcat[...]
HarperCollins
2022-07-07
[43]
서적
Vickers (2005), p. 13
[44]
서적
Vickers (2005), p. 14
[45]
서적
Reid (1974), p. 1.
[46]
간행물
Koloniale oorlogen in Indonesie. Vijf eeuwen verzet tegen vreemde overheersing
De Arbeiderspers
[47]
서적
Het gelijk van Multatuli : het handelen van Eduard Douwes Dekker in rechtshistorisch perspectief
Lubberhuizen
[48]
간행물
'The Demographic Effects of Colonialism: Forced Labor and Mortality in Java 1834–1879'
Wageningen University & Research (WUR) & Universiteit Utrecht
[49]
서적
Indonesia: Peoples and Histori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50]
간행물
Death among Coolies: Mortality of Chinese and Javanese Labourers on Sumatra in the Early Years of Recruitment, 1882–1909
Cambridge Journals
[51]
웹사이트
De geschiedenis van gedwongen arbeid in Nederlands-Indië
https://iisg.amsterd[...]
2023-08-11
[52]
간행물
Controversial Views on Writing Coloni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간행물
Daar werd wat gruwelijks verricht
Uitgeverij Atheneum
[54]
간행물
Foute dokters en de tabaksindustrie van Sumatra
Uitgeverij de Woordenwinkel
[55]
간행물
De miljoenen uit Deli
[56]
간행물
Koelies, planters en koloniale politiek. Het arbeidsregime op de grootlandbouwondernemingen aan Sumatra's Oostkust in het begin van de twintigste eeuw (Verhandelingen van het Koninklijk instituut voor taal-, land- en volkenkunde CXXIII
Foris Publications
[57]
서적
Nyai & Pergundikan di Hindia Belanda
Komunitas Bambu
[58]
간행물
"The Forlorn Ally—The Netherlands East Indies in 1942"
[59]
간행물
"Paradise in Peril: The Netherlands, Great Britain and the Defence of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940–41"
[60]
서적
Morison (1948), p. 191
[61]
서적
Ricklefs (1991), p. 195
[62]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941–42
http://warfare.gq/du[...]
[63]
서적
War, nationalism, and peasants: Java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1942–1945
[64]
웹사이트
Indonesia :: Japanese occupation
https://www.britanni[...]
2007-01-21
[65]
논문
Dutch Attitudes towards Colonial Empires, Indigenous Cultures, and Slaves
https://pure.knaw.nl[...]
[66]
서적
Vickers (2005), page 85
[67]
서적
Ricklefs (1991), p. 199
[68]
서적
War Without Mercy: Race and Power in the Pacific War
Pantheon
[69]
웹사이트
How the Netherlands Hid Its War Crimes for Decades
https://besacenter.o[...]
2020-08-31
[70]
뉴스
Who is responsible for 'Bersiap'?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71]
웹사이트
Extremists Run Amok Against Indische-Nederlanders | Dutch-Indonesian Community
http://dutcheastindi[...]
2011-08-31
[72]
웹사이트
Tijdbalk Indonesische kwestie
https://www.parlemen[...]
2023-03-21
[73]
뉴스
Dutch king apologises for colonial killings in Indonesia
https://www.belfastt[...]
2021-08-18
[74]
간행물
Dutch Courage: The Politics of Acceptable Risks. Armed Forces and Society
2005-07-01
[75]
문서
R.B. Cribb and A. Kahin, p. 108
[76]
문서
R.B. Cribb and A. Kahin, p. 140
[77]
문서
R.B. Cribb and A. Kahin, pp. 87, 295
[78]
문서
Vickers (2005), p. 15
[79]
문서
Cribb, R.B., Kahin, pp. 140 & 405
[80]
문서
Harry J. Benda, S.L. van der Wal, "De Volksraad en de staatkundige ontwikkeling van Nederlandsch-Indië: The Peoples Council and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Netherlands-Indies." (With an introduction and survey of the documents in English).
[81]
서적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Islam, Movement, and the Longue Durée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22-09-16
[82]
문서
Note: The European legal class was not solely based on race restrictions and included Dutch people, other Europeans, but also native [[Indo people|Indo-Europeans]], Indo-Chinese and indigenous people.
[83]
웹사이트
Virtueel Indi
http://www.virtueeli[...]
2011-08-25
[84]
문서
Note: Adat law communities were formally established throughout the archipelago e.g. [[Minangkabau people|Minangkabau]]. See: Cribb, R.B., Kahin, p. 140
[85]
인용
Features – The Indonesian Legal System: An Overview
https://www.llrx.com[...]
LLRX
2002-12-02
[86]
문서
Note: The Bulu women's prison in Semarang, which housed both European and indigenous women, had separate sleeping rooms with cots and mosquito nets for elite indigenous women and women in the European legal class. Sleeping on the floor like the female peasantry was considered an intolerable aggravation of the legal sanction. See: Baudet, H., Brugmans I.J. ''Balans van beleid. Terugblik op de laatste halve eeuw van Nederlands-Indië.'' (Publisher: Van Gorcum, Assen, 1984)
[87]
문서
Baudet, H., Brugmans I.J. ''Balans van beleid. Terugblik op de laatste halve eeuw van Nederlands-Indië.'' (Publisher: Van Gorcum, Assen, 1984) P.76, 121, 130
[88]
웹사이트
Chapter 4: The Netherlands Indies, 1800–1942 | Digital Atlas of Indonesian History – by Robert Cribb
http://www.indonesia[...]
2012-01-19
[89]
서적
Blacks in the Dutch World: The Evolution of Racial Imagery in a Modern Society
Indiana University Press
[9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ndonesia.'
Scarecrow Press
[9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Volume 2,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7-19
[92]
간행물
Colonial warfare and military ethics in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816–1941
[93]
문서
Willems, Wim 'Sporen van een Indisch verleden (1600–1942).' (COMT, Leiden, 1994). Chapter I, P.32-33
[94]
문서
Willems, Wim 'Sporen van een Indisch verleden (1600–1942).' (COMT, Leiden, 1994). Chapter I, P.32-36
[95]
문서
John Sydenham Furnivall, ''Colonial Policy and Practice: A Comparative Study of Burma and Netherlands Indi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8), 236.
[96]
웹사이트
Dutch East Indies 1941–1942
https://warfare.gq/d[...]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99–2000
[97]
문서
"Last Post – the End of Empire in the Far East", John Keay
[98]
웹사이트
plechtigheden in Djakarta bij de opheffing van het KNIL Polygoon 1950 3 min. 20;embed=1 Video footage showing the official ceremony disbanding the KNIL
http://cgi.omroep.nl[...]
2019-04-21
[99]
문서
John Keegan, page 314 "World Armies"
[100]
서적
Netherlands India: a Study of Plural Economy
nu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문서
Beck, Sanderson, (2008) South Asia, 1800–1950 – World Peace Communications
[102]
문서
Van Nimwegen, Nico ''De demografische geschiedenis van Indische Nederlanders'', Report no.64 (Publisher: NIDI, The Hague, 2002) P.36
[103]
서적
De demografische geschiedenis van Indische Nederlanders
NIDI
[104]
문서
Vickers (2005), p. 9
[105]
문서
Reid (1974), p. 170, 171
[106]
서적
De Privaatrechterlijke Toestand: Der Vreemde Oosterlingen Op Java En Madoera ''( The private law situation: Java and Madoera'')
http://www.tongtong.[...]
Bibiliobazaar
2011-03-17
[107]
간행물
Development polic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donesia]
https://works.bepres[...]
[108]
문서
[109]
문서
[110]
웹사이트
TU Delft Colonial influence remains strong in Indonesia
http://www.tudelft.n[...]
2011-09-22
[111]
웹사이트
URAP – University Ranking by Academic Performance
http://www.urapcente[...]
2012-04-18
[112]
문서
[113]
문서
[114]
문서
[115]
문서
[116]
웹사이트
Waarde van de gulden / euro
http://www.iisg.nl/h[...]
2020-05-08
[117]
웹사이트
Promotie Huib Ekkelenkamp op 9 april 2019 TU Delft
https://www.kivi.nl/[...]
2019-05-21
[118]
웹사이트
Indonesia's Infrastructure Problems: A Legacy From Dutch Colonialism
https://web.archive.[...]
[119]
논문
The Demographic Effects of Colonialism: Forced Labor and Mortality in Java, 1834–1879
2022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논문
The Carceral Colony: Colonial Exploitation, Coercion, and Control in the Dutch East Indies, 1810s-1940s
https://pure.knaw.nl[...]
2018
[126]
논문
The road to an empire: Organisation and technology of road construction in the Dutch East Indies, 1800–1940
[127]
문서
[128]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https://books.google[...]
UNSW Press, Sydney
[129]
문서
[130]
서적
Weg tot het Westen (''Road to the West)'')
[130]
서적
The Scents of Eden: A History of the Spice Trade
https://books.google[...]
Kodansha America
2020-10-22
[131]
서적
In Indie geworteld
https://web.archive.[...]
Bert bakker
[132]
서적
Weg tot het westen. Het Nederlands voor Indie 1600–1950
https://web.archive.[...]
KITLEV, Leiden
[133]
웹사이트
A Hidden Language – Dutch in Indonesia
http://escholarship.[...]
Institute of Europe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02-08
[134]
문서
[135]
문서
[13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lonial and Post-Colonial Connections in Dutch Literature.'
http://dutch.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37]
서적
Oost-Indische spiegel. Wat Nederlandse schrijvers en dichters over Indonesië hebben geschreven vanaf de eerste jaren der Compagnie tot op heden.
http://www.dbnl.org/[...]
Querido, Amsterdam
[138]
웹사이트
Mooi Indie, Aliran
https://web.archive.[...]
2011-09-27
[139]
문서
[140]
문서
[141]
웹사이트
NATUURWETENSCHAPPELIJKE raad voor Nederlandsch-Indie te Batavia
https://opac.perpusn[...]
2020-03-12
[142]
웹사이트
Selamat Ulang Tahun, LIPI!
http://lipi.go.id/be[...]
2020-03-12
[143]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Indonesia's rice table
https://web.archive.[...]
2011-09-23
[144]
웹사이트
Dutch Food Influences – History of Dutch Food – Culinary Influences on the Dutch Kitchen
http://dutchfood.abo[...]
2011-09-22
[145]
문서
Schoppert (1997), pp. 38–39
[146]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Ltd
[147]
conference
Architectural Design Consideration for Modern Buildings in Indonesia
https://web.archive.[...]
2007-01-18
[148]
문서
Schoppert (1997), pp. 72–77
[149]
문서
Schoppert (1997), pp. 104–105
[150]
문서
Schoppert (1997), pp. 102–105
[151]
문서
Vickers (2005), p. 24
[152]
문서
Schoppert (1997), p. 105
[153]
웹사이트
The Architecture of Indonesia
https://factofindone[...]
2024-01-15
[154]
서적
Chic in kebaya: catatan inspiratif untuk tampil anggun berkebaya
Esensi
[155]
간행물
Kebaya Encim as the Phenomenon of Mimicry in East Indies Dutch Colonial's Culture
https://core.ac.uk/d[...]
2024-01-14
[156]
서적
The Netherlands East Indies at the Tropenmuseum: a colonial history
KIT
[157]
웹사이트
Indonesian Batik – intangible heritage – Culture Sector
http://www.unesco.or[...]
UNESCO
2017-04-19
[158]
웹사이트
Dutch East Indies – Football History
https://www.rsssf.or[...]
The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23-07-13
[159]
웹사이트
Did you know Dutch East Indies, erstwhile Indonesia, were the first flagbearers of Asia in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FIFA
2023-07-13
[160]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es, a colonial team at a World Cup
https://footballmake[...]
2023-07-13
[161]
웹사이트
In Pictures: The World's Richest Royals
https://www.forbes.c[...]
2010-03-05
[162]
문서
Some of the university faculties still include: Indonesian Languages and Cultures; Southeast Asia and Oceania Languages and Cultures; Cultural Anthropology
[163]
문서
Note: 1927 garden party, at the country estate ''Arendsdorp'' on the ''Wassenaarse weg'' near The Hague, for the benefit of the victims of the storm disaster of 2 June 1927 in the Netherlands. The market is opened by the minister of Colonies dr. [[Jacob Christiaan Koningsberger|J.C. Koningsberger]].
[164]
서적
Tempo doeloe : fotografische documenten uit het oude Indie, 1870–1914 [door] E. Breton de Nijs (pseud. of Robert Nieuwenhuys)
Querido
[165]
문서
Nieuwenhuys (1999)
[166]
웹사이트
Novels: Coming to terms with Calvinism, colonies and the war.
http://retro.nrc.nl/[...]
[167]
서적
Being "Dutch" in the Indies: a history of creolisation and empire, 1500–192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NUS Press
[168]
서적
De uittocht uit Indie 1945–1995
Bert Bakker
[169]
웹사이트
Official CBS website containing all Dutch demographic statistics.
http://www.cbs.nl/nl[...]
2010-06-01
[170]
웹사이트
IMES/ Second&third generations Dutch Eurasians
https://web.archive.[...]
2016-02-04
[171]
웹사이트
Indisch-eten Startpagina, verzameling van interessante links
http://indisch-eten.[...]
2010-10-14
[172]
문서
双方ともバタヴィアであるが、バタヴィアとは古代オランダに住んでいた[[ゲルマン人]]の一部族、バターウィー族(Batavii)に由来するオランダ地方の古称である。
[173]
문서
イギリス本国がオランダに植民地を返還するとき、ラッフルズはイギリスのジャワ島放棄に反対していた。
[174]
문서
強制栽培制度がジャワ農村を貧困化したとする議論に対して、強制栽培制度によって農民の生活水準は向上した、と主張する代表的な著作として、R.E.Elson, ''Village Java under the Cultivation System, 1830-1870'', Sydney:Allen and Unwin, 1994. また、ホワイトやボームハールトは、当該期の生活水準の上昇,天然痘の予防接種の普及などを人口増加の原因として挙げている。
[175]
서적
インドネシアの独立と革命
[176]
書적
Max Havelaar, of de koffieveilingen der Nederlandsche Handel - Maatschappij
Donker, Rotterdam
1983
[177]
서적
인도네시아의 독립과 혁명
1973
[178]
서적
인도네시아의 독립과 혁명
1973
[179]
서적
黎明の世紀―大東亜会議とその主役たち
[[文藝春秋]]
1991
[180]
웹사이트
講演会 アジア太平洋戦争と東南アジア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8-16
[181]
웹사이트
28.大東亜政略指導大綱(昭十八、五、二十九連絡会議決定 昭十八、五、三十一御前会議決定)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4-08-16
[182]
간행물
蘭領東印度事情
https://books.google[...]
外務省通商局
1916
[183]
간행물
蘭領東印度事情
https://books.google[...]
外務省通商局
1924
[184]
간행물
蘭領東印度経済事情
https://books.google[...]
19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